Into the sinkhole 모작 게임
게임을 소개하기 앞서
만약 이 게임이 처음이라면
먼저 플레이 해 본 후 개발 과정을
살펴보시길 추천합니다.
안녕하세요 into the sinkhole
모작 게임을 제작한 허원준입니다.
여기선 이 게임을 어떻게
만들었는지, 어떤 과정을 거쳤는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동기
Q1.
원작 ‘into the sinkhole’이 출시되기 전,
steam에서는 ‘Only UP’이라는
게임이 유행하고 있었습니다.
간단하게만 설명하자면, ‘Only UP’은
올라가면 승리한다는 굉장히 간단한
목표를 가지고 있는 게임입니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러가지
함정과 어려운
난이도로 긴 플레이 타임을 가지고 있는
게임입니다.
‘Only UP’이 출시되자 그를 모티브로 한
여러 모방 게임이 출시되고 있었는데요,
이 분위기에서 ‘into the sinkhole’은
약간은 다른 길로 출시하게 됩니다.
바로 ‘내려가야 승리한다’는 목표를 가진
것이었습니다.
함정에 빠지면 내려가는 대신
튕겨 올라가는 모습이 굉장히 새롭다고
생각했고, 꼭 이런 종류의 게임을 플레이
해 보고 만들어 보고 싶다는 생각을 갖게
되었습니다.
제작 기간
Q2.
소개글에서도 언급했다시피
요즘은 유튜브나 구글에 튜토리얼과
안내 영상이 굉장히 많기 때문이
이들을 짜집기하고 참고하여
총 일주일이라는 시간이 걸렸습니다.
대략적인 개발 과정
Q3.
대략적인 과정은 아래처럼 정리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1일차 - 원작 분석, 기획
2일차 - 캐릭터의 움직임 구현
3일차 - 맵 제작 및 점프패드와 대쉬 구현
4일차 - 버그 발견 후 전체 코드 다시 작성
5일차 - 맵 제작 및 웹사이트 제작 시작
6일차 - 맵 제작 및 웹사이트 제작
7일차 - 배포
무엇을 구현했는가
Q4.
캐릭터 좌우 움직임, 중력, 캐릭터 점프, 방향에 따른 캐릭터 애니메이션, 대쉬, 점프 및 대쉬 사운드
점프패드, 단방향 플랫폼, 움직이는 플랫폼 및 점프패드, 점프패드 사운드,
점프패드 및 플랫폼 모듈화,
타일맵
타이머, 게임 성공 및 실패
처음 화면
인게임
일시정지
게임 시작 버튼, 크레딧 버튼, 게임 종료 버튼
주변 블러 처리, 게임 재개 버튼, 게임 다시 시작 버튼, 게임 종료 버튼
Q5.
버그 수정에 관하여
베타 테스트를 시작한
8월 25일부터 28일까지
총 4번의 버그 수정은
아래와 같은 과정으로
이루어졌습니다.
patch 2.0
전체화면 해상도 버그 해결, 점프패드 소리 중첩 버그 해결, 소리 밸런스 조정,
첫 구간 난이도 하향 조정, RED 점프패드 점프
증가량 수정, 이동 플랫폼 도입, 튜토리얼 구간 단축 및 개선, macOS 지원
patch 3.0
대쉬 시스템 수정, 중력 시스템 수정, 점프 시스템 수정, 점프패드 시스템 수정,
소리 조정, 소리 중첩 버그 해결,점프 중첩 버그 해결, 타이머 추가
patch 4.0
시간 초과 창 추가
patch 5.0
엔딩 장면 수정, 엔딩 기믹 수정,
승리 화면 추가,
크레딧 화면 폰트 깨짐 해결,
타이머 버그 해결
메커니즘의 구현 방식,
혹은 패치 방법 등은 추후
CPU 공식 인스타그램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